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생활정보72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과의 비교(+ 자격 조건 가입제한 알아보기) 청년도약계좌가 내년 6월에 출시될 예정입니다. 청년도약계좌는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만 19-34세 청년의 중장기 재산 형성을 돕기 위한 정책으로 윤석열 대통령의 공약 사항입니다. 매달 70만원 한도 안에서 일정액을 저축하면 정부가 월 최대 40만원씩을 보태 10년 만기로 1억원을 만들어주도록 설계되었지만, 현실을 반영하여 5천만 원으로 축소되었습니다. 가입자들은 본인 판단 하에 주식형, 채권형, 예금형 등 3가지 투자 운용 형태 가운데 한 가지를 선택하여 가입할 수 있습니다.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만 19-34세 청년 대상자가 월 70만 원을 5년 동안 납입하여 최대 5천만 원을 수령하는 목돈마련 저축지원계좌입니다. 이때 정부는 월 납입금의 3-6% 정부 보조 .. 2022. 11. 24.
국토부 전세사기 피해 방지 방안, 한방에 정리하기 정부는 2022년 8월 31일자로 임차인 재산보호와 주거안정 지원을 위한 종합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정부가 발표한 『전세사기 피해 방지방안』을 살펴보겠습니다.​이번 방안은 △피해 예방 △피해 지원 △단속 및 처벌 강화 등 3개 분야로 나뉘지만, 전세사기 예방에 크게 무게가 실렸습니다. ​임대표준계약서에 ‘임차인의 대항력 효력이 발생할 때까지 임대인은 매매나 근저당권 설정을 하지 않는다’는 특별계약을 명시해, 세입자가 계약 즉시 전입신고를 하고 확정일자를 받아도 효력이 다음날 발생해 보증금이 후순위로 밀리는 것을 막기로 했으며, 전세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앱도 개발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국토부 전세 사기 피해 방지 방안 내용을 살펴보면 임차인이 체납 사실이나 선순위 권리관계 정보를 요청하면 집주인은 이를.. 2022. 11. 22.
728x90
반응형
LIST